한 줄 요약 : TOPIC으로 검색해보면, 초전도체 분야 논문이 꾸준히 나오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Topic 검색으로 해보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지적(초전도체(Superconductor)의 경우)을 받았습니다. 지적의 요점은 논문 제목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었죠. 저는 Web of Science에서 Topic이 어떤 기준으로 찾는지 몰라서 이용하지 않았었는데, 이번 기회에 좀 더 알아보고자 topic과 title을 비교해봤습니다.
우선 논문 제목(title)으로 검색한 것을 봐주세요. 논문 제목에서는 Superconducting이 가장 많이 쓰이고, superconductor와 superconductivity는 그다지 많이 쓰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세 결과 모두 시간이 흐를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죠.
그렇다면 topic으로 조사하면 어떨까요? 이 경우는 약간 다르게 나옵니다. 80년대 후반에 급격하게 증가했다는점에서 제목으로 찾는 것과 동일함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지적하신 바와 같이, 제목에서는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지만, 여기에서는 꾸준히 논문이 나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에서 지적받은 바와 같이, 초전도라는 단어를 쓰지 않았지만 초전도체와 관련된 논문이 많을 것이라 예측할 수 있겠죠. (세부 전공 분야가 같지 않으면 조심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그러나 여기서도 단어에 따라서 검색되어지는 논문의 수가 다르기 때문에, 총 논문수를 원한다면, 검색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경향성을 볼 때는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이네요. 왜냐면 세 가지 검색어 모두 같은 경향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죠.
덧. 마지막에 Superconductor(TOPIC) or Superconductivity(TOPIC) or Superconducting(TOPIC)로 검색하면 어떻겠냐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면 총 논문 수가 10만이 넘어가서 Web of Science에서 분석하기 힘들더군요. 그래서 편의상 따로 검색했습니다.
Topic 검색으로 해보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지적(초전도체(Superconductor)의 경우)을 받았습니다. 지적의 요점은 논문 제목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었죠. 저는 Web of Science에서 Topic이 어떤 기준으로 찾는지 몰라서 이용하지 않았었는데, 이번 기회에 좀 더 알아보고자 topic과 title을 비교해봤습니다.


그러나 여기서도 단어에 따라서 검색되어지는 논문의 수가 다르기 때문에, 총 논문수를 원한다면, 검색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경향성을 볼 때는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이네요. 왜냐면 세 가지 검색어 모두 같은 경향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죠.
덧. 마지막에 Superconductor(TOPIC) or Superconductivity(TOPIC) or Superconducting(TOPIC)로 검색하면 어떻겠냐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면 총 논문 수가 10만이 넘어가서 Web of Science에서 분석하기 힘들더군요. 그래서 편의상 따로 검색했습니다.
최근 덧글